전체| 1급| 2급| 3급| 4급| 5급| 6급| 7급| 8급

아! 최치원(崔致遠), 최치원이여! 下


봄비에 그만 화들짝 놀란 산수유가 샛 노란색 옷으로 온 산천(山川)을 분탕질해 놓았다.
언덕 위 밭둑에는 홍매화(紅梅花)가 꽃망울 터뜨리고, 마알간 아기 눈망울 같이 이슬을 잔뜩 머금고 있다.
아름답다.
가슴이 시릴 정도로 아름다운 봄 꽃 향연(饗宴)이 본격적으로 팡파르를 울리기 시작했다.
곧 이어 만개(滿開)할 개나리와 진달래가 출정(出征) 준비(準備)를 마치고, 몸단장(丹粧)에 열을 올리고 있다.
동일(同一) 위도(緯度)에서 개나리와 진달래는 고도(高度)가 100m 높아짐에 따라 평균(平均) 이틀 정도 늦게 개화(開花)하며, 하루에 약 30㎞ 북상(北上)한다고 한다.


일두 정여창 고택의 대문위에 걸린 충신 효자 정려문

www.pjnonsul.com
   함양을 걸어 다닌 지가 벌써 여러 날이다.
서상면 논개(論介) 묘역(墓域)을 나와서 다시 대전(大田) 충무(忠武) () 고속도로(高速道路)에 몸을 실었다.
차창(車窓)으로 비치는 이곳 함양은 정말 () 안동 () 함양이랄 만하다.
곳곳에 세워져 있는 정자(亭子)는 길손들에게 휴식(休息)제공(提供)하기에 충분(充分)하다.
이런 지세(地勢)에 나고 자란 함양의 인물(人物)들은 대개(大槪) 지조(志操)가 곧고, 그 뜻이 높아 현재(現在)에도 추앙(推仰)을 받고 있는 이가 많다.
아마도 고운(孤雲) 최치원(崔致遠)학맥(學脈)이 아직도 이곳 함양에서는 면면(綿綿)히 흐르고 있다고 하는 것이 옳은 것 같다.


정여창 고택의 사랑채

www.pjnonsul.com
   함양 나들목을 나와서 조선(朝鮮) 성리학(性理學) 5현(五賢)-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 1454~1504),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 1482~1519),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 1491~1553), 퇴계(退溪) 이황(李滉 : 1501~1570)-으로 유명(有名)일두(一斗) 정여창(鄭汝昌:1450~1504) 선생(先生)고택(古宅)이 있는 지곡면 개평리에 들렀다.
하동 정씨 집성촌(集姓村)으로 아직도 백여 가구가 모여 살고 있는 개평리는 경주(慶州)의 양동마을을 옮겨 놓은 듯 고고(高高)한 선비의 향내가 온 마을을 감싸 안고 있다.


정여창 고택의 사랑채에 걸린 忠孝節義

www.pjnonsul.com
   일두(一斗) 선생(先生)은 흔히 김굉필(金宏弼)과 더불어 우리나라 유학(儒學)핵심(核心)이기론(理氣論)비조(鼻祖)로 꼽고 있다.
또한 일두(一斗) 선생(先生)은 책상머리에만 머물지 않고, 실천(實踐) 철학자(哲學者)도학사상(道學思想)왕도정치(王道政治)실천(實踐)하려고도 하였다.
결과(結果) 이곳 안의(安義)-안음- 현감(縣監) 시절(時節) 자신의 사상(思想)실천(實踐)하여, 주민(住民)들의 복지(福祉) 향상(向上)주력(主力)하였고, 아울러 새로운 통치(統治) 철학(哲學)완성(完成)하려고 하였다고 판단(判斷)된다.
비록 1498년(연산군 4년) 무오사화(戊午士禍)연루(連累)되어 함경도 종성으로 유배(流配)되어 그곳에서 ()을 마감하였고, 뒤이어 갑자사화(甲子士禍)에 다시 연루(連累)되어 부관참시(副棺斬屍)를 당하였지만, 우리나라 성리학(性理學)거두(巨頭)임에는 틀림이 없다고 하겠다. www.pjnonsul.com
   후일(後日) 중종 12년(1517년)에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 () 우의정(右議政)증직(贈職)되었고, 선조 8년(1575년)에 문헌공(文獻公)으로 시호(諡號)를 받기에 이른다.
한 가지 더욱 안타까운 것은 일두(一斗)저서(著書)무오사화(戊午士禍) 때 모두 소각(燒却)되어, 현재(現在)후손(後孫)들이 편찬(編纂)한『문헌공실기(文獻公實記)』에 몇 편의 글과 시문(詩文)()해져 온다는 것이다.
한 나라 군주(君主)의 잘못된 통치(統治)가 이처럼 엄청난 지식(知識)을 잃어버리는 결과(結果)를 가져온다는 것은 작금(昨今)의 나라 사정(事情)과 너무나 닮아 있어 두고두고 새겨 둘 일이다.


사랑채에 붙은 간이 소변통

www.pjnonsul.com
   현대(現代) 지조(志操)대명사(代名詞)로 일컬어지고 있는 지훈(芝薰) 조동탁(趙東卓 : 1920~1968) 역시 한양조씨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후손(後孫)이다.
일제(日帝) 강점기(强占期) 대부분(大部分)문인(文人)들이 친일(親日)의 길을 걸을 때, 그는 조금의 흔들림 없이 지조(志操)를 지킨 것은 경북 영양군 일원면 호은종택의 정기(精氣)가 아직도 살아 있음을 말해 주고 있다.
또한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선생(先生)은 어떠한가. 안강(安康) 세심(洗心)마을의 독락당(獨樂堂)과 양동마을은 안온(安穩)하면서도 지조(志操) 있는 사람들을 배출(輩出)충분(充分)입지조건(立地條件)을 갖추었다고 하는데 딴죽을 걸 사람은 없을 것이다.
www.pjnonsul.com
   지금 북한(北韓) 사학계(史學界)의 ‘신라(新羅) 삼국통일(三國統一) 부정설(否定說)’을 남한(南韓)사학계(史學界)일부(一部) 동조(同調)하고 있다는 얘기를 들을 때 마다 반문(反問)하고 싶다.
그러면 누가 삼국(三國)통일(統一)하였단 말인가. 물론 고구려사(高句麗史)발해사(渤海史)복원(復元)중요(重要)한 우리의 몫인 것은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기존(旣存)의 모든 역사(歷史)부정(否定)하면서 새판을 짤 필요가 어디에 당위성(當爲性)이 있단 말인가. 애통(哀痛) 할 따름이다.


안채의 굴뚝

www.pjnonsul.com
   함양은 지금 오랜 세월동안 닫혀져 있던 빗장을 풀기 시작하였다.
교통(交通)사통팔달(四通八達)로 인하여 수많은 관광객(觀光客)이 찾아오리란 기대(期待)가 함양의 하늘을 수놓고 있다.
지조(志操)기개(氣槪)가 닮았고, 함께 향유(享有)역사적(歷史的) 인물(人物)들을 공유(共有)하고 있는 함양과 경주는 앞으로 지자체(地自體)() 활발(活潑)교류(交流)기대(期待)하는 것이 나그네의 욕심(慾心)일까.


안채에 있는 절구통

www.pjnonsul.com
   삼국(三國)통일(統一)화랑(花郞)들의 정신(精神)고려(高麗) 조선(朝鮮) 조까지 이어져, 조선후기(朝鮮後期) 실학(實學)거두(巨頭)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 : 1737~1805) 역시 이곳 안의(安義)-안음- 현감(縣監)으로 있을 때 물레방아를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농사(農事)관심(觀心)이 많았던 연암(燕巖)은『과농소초(課農小抄)』를 지어 ‘농자천하지대본(農者天下之大本)’을 실천(實踐) 하였고, 많은 한문단편(漢文短篇)을 지어서 양반사회(兩班社會)무능(無能)함을 통쾌(痛快)하게 질타(叱咤)하고 있다.
안의(安義) 현감(縣監)시절(時節) 지은 단편(短篇) ()열녀함양박씨전(烈女咸陽朴氏傳)』은 열녀(烈女) 만들기에 열중(熱中)하는 조선(朝鮮)양반사회(兩班社會)부도덕(不道德)함을 만천하(滿天下)고발(告發)하고 있다.


안채 전경

www.pjnonsul.com
   함양을 기행(紀行)하면서 부정(否定)을 하든 말든, 화랑정신(花郞精神)은 아직도 살아 있다고 자신(自身) 있게 말하고 싶다.
그날 울려 퍼졌을 화랑(花郞)들의 함성(喊聲)탐방자(探訪者)의 귓전을 아직도 맴돌고 있기 때문이다.
화랑도(花郞道) 정신(精神)은 오랜 핍박(逼迫)을 받았지만, 이곳 함양(咸陽)에서 고운(孤雲)채취(採取)정여창(鄭汝昌)논개(論介)충절(忠節)을 낳았고, 연암(燕巖)실학정신(實學精神)으로 승화(昇華)되어, 오늘도 우리네 가슴 저 밑바닥을 채워주는 생명수(生命水)가 되고 있다.
www.pjnonsul.com
  
본 사이트의 모든 기능 및 글에 대한 저작권 보호가 되어 있습니다. 필요하시면 연락을 바랍니다.   

본문의 한자
1.山川  2.丹粧  3.同一  4.緯度  5.高度  6.平均  7.北上  8.亭子  9.休息  10.提供  11.充分  12.地勢  13.人物  14.大槪  15.志操  16.現在  17.推仰  18.綿綿  19.先生  20.儒學  21.鼻祖  22.實踐  23.結果  24.思想  25.住民  26.福祉  27.向上  28.主力  29.統治  30.哲學  31.完成  32.判斷  33.後日  34.諡號  35.著書  36.燒却  37.後孫  38.編纂  39.詩文  40.君主  41.知識  42.事情  43.現代  44.文人  45.精氣  46.輩出  47.新羅  48.一部  49.同調  50.反問  51.重要  52.否定  53.哀痛  54.交通  55.四通八達  56.期待  57.氣槪  58.享有  59.共有  60.交流  61.慾心  62.花郞  63.精神  64.高麗  65.實學  66.農事  67.無能  68.痛快  69.叱咤  70.短篇  71.熱中  72.告發  73.紀行  74.自身  75.喊聲  76.逼迫  77.採取  78.忠節  79.昇華 



Copyright (c) 2016 pjnonsul All rights reserved. | 이메일 : master@badatime.com